Author Archives: babyworm

반 DRM.. 사실 표준화되지 않은 DRM이 문제 아닌가..

[wp]GPL [/wp]3.0에서 가장 많이 변한 부분이 DRM에 관한 부분이라고 합니다.
(저는 아직 GPL 3.0을 읽어보지 않았으며, ZDnet의 기사만을 참조하였습니다. )

얼마전 리챠드 스톨만(제가 존경하는 분들중의 한분인데요..)의 강연에서 DRM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고, 이 부분에 대한 많은 이야기가 블로그 스피어상에서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DRM은 생각보다 넓게 퍼져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국내 서비스중에 “멜론”이겠고, 애플의 “iStore”겠지요..

그런데, 문제는 사용자가 특정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멜론에서 정식으로 구입한 음원은 절대 다른 기기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명백하게 음원의 가격을 지불한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제약을 가하는 것입니다.
이런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면, 하나의 DRM을 다른 DRM으로 변환하는 transcoding과 같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겠습니까..

여하튼, 이 문제에 대한 GPL의 대답이 아래와 같은 것이겠지요.

GPLv3의 개정 초안을 보면, GPL이 적용되는 소스코드에는 ‘권고적으로 또는 원칙적으로 소스 코드의 수정 버전을 설치 내지 실행하는데 필요한 일정 암호화 키나 인증 키가 포함되어야 한다. 소스 코드 사용을 제한하는 어떤 키가 하드웨어에 존재한다고 해서 소스 코드에 키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위 요건이 바뀌거나 하지는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ZDnet에서 인용]

하드웨어에 종속적이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도, 소프트웨어상에 키가 포함되어야 하기에 DRM이 무력화 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겠습니다만.. 문제 인식 자체에는 공감합니다.

그런데, 이게 anti-DRM으로 연결되어야 하느냐는 좀 아닌거 같습니다.

[wp]DRM[/wp]이란 것이 저작자의 권리를 지키자는 취지에서 개발된 것으로, 불편하지만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wp]DRM[/wp]과 [wp]GPG[/wp](GNU PGP)에 무슨 차이가 있겠습니까?
하나는 저작권을 보호하는 것이고, 하나는 개인정보 보호에 사용된다는 점 외에는 사실 같은거라고 보고 있거든요..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해야 하지만, 이를 과도하게 보호해서 정당한 가격을 지불한 사용자에게 제약을 가하면 안된다는 것이죠. 아니, 고객의 권리를 제한한다는 것이 얼마나 우스운 일입니까?

두 가지 권리를 모두 보호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스톨만 아저씨가 이야기 하신것처럼) “인식의 변화”가 맞습니다만, 이게 어렵다면 차선의 방법은 “표준화된 DRM”이 되겠지요.

몇몇 표준단체에서 DRM관련 표준화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습니다만, 각 업체간의 이런 저런 알력이 있으니 쉽지만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

그래도, 최대한 빨리 표준화가 되어야 할 문제겠지요..

에이.. 칩 좋다고 성공합니까?

여러가지 칩들 중에 버그가 많은 칩이 존재한다는 건 이미 알려진 이야기지요..
그중에 소프트웨어적으로 회피할 수 없는 심각한 문제를 숨기고 있는 칩도 있구요..

그럼에도 성공하는 칩이 있습니다.

버그 없고 잘 나온 칩인데 실패하는 칩도 있습니다.

성공하는 칩은 적절한 시점에 적절한 가격으로 출시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칩이 기획되고 나와 상용화까지가는데, 최소 1년, 길면 2~3년이라고 보면 성공한 칩은 “미래에 대한 예측에 성공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입니다.

소위 이야기하는 블루 오션 전략에 성공하는 패턴이겠지요.

국내 비메모리 회사들중에 현재 매출순위 top 10안에 들어가는 회사들이 바로 이 블루오션에 개척에 성공한 케이스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 분야가 이제는 심각한 레드 오션으로 바뀌고 있는 상황이니 다른 매출꺼리를 찾아나가고 있는 중이겠습니다.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방향이 대부분 회사에서 비슷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건 좀 우려되는 상황이긴 하죠..)
사실 국내 비메모리 반도체 회사들이 대부분 벤쳐 기업으로서 출발했으니, 이러한 블루 오션 전략으로 올인하는 방향이 가장 현명한 선택이었음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시스템 업계에서 새로운 칩을 선택하려고 하는 시점에 시의 적절하게 나온 칩들은 만일 약간의 버그가 있더라도 기능과 가격적인 메리트로 일어날 수 있는 것이지요. 물론, 버그 없는 칩이 같이 있었다면 더 어려운 상황이었겠죠.

그럼 ocean이 점점 피빛으로 물들어 갈때 해야 하는 전략은 무엇이 있겠습니까?
칩 자체의 가격을 낮추는 것이 가장 먼저 떠오를 수 있는 생각이겠지만, 이런 전략은 궁극적으로 어려움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바로 사용자 측면에서 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소위 이야기되는 bug-free나 platform based가 이런 것이겠습니다.
버그가 없다는 건 어찌보면 시스템 업체에서 고생할 가능성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한다는 건데.. 실제적으로는 bug뿐만이 아니라 사용자의 실수를 알려줄 수 있는 기능(칩의 입장으로는 overhead겠습니다만..)까지 넣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Platform-based 라는 것이 상당 시간동안 회자되고 있습니다.
특정 분야의 시스템에 맞추어져 있는 chipset과 소프트웨어를 갖추어 놓고, 이를 시스템업체에 제공하는 방법이 platform based 방법이라 볼 수 있는데, 시스템 업체의 입장에서는 시스템 제작에 따르는 부담을 극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겠죠..

칩 업체 입장에서는 해야할 것이 너무 많으니 부담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는 경우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적극적인 플랫폼의 개발이 개발된 칩의 사용 가능성을 한층 넓힐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 됩니다. (만일 버그가 있더라도 제공된 software로 효과적으로 숨길수도 있고 말입니다. ^^;)
게다가, 칩 업체가 시스템 업체에 대한 지원 부분도 아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으니, 장기간으로 보았을때는 좋은 플랫폼을 제공하는 칩이 성공하는 칩이 되겠습니다.

에이.. 칩만 좋다고 성공합니까? 칩만 만든다고 되는건 아니라니까요..

유용한 기술동향 정보.. IITA 주간 기술 동향..

논문이건 제안서건..
빠지지 않고 들어가야 하는 것이 바로 기술 동향입니다.

내가 이러 저러한 걸 하려고 하는 건 이런 기술 동향에 의한 것이다라는 걸 주장해야 하기 때문이죠.
사실 이런 시장 조사라던지 마켓 예측에 있어서 가장 유명한 곳은 gartner group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전기/전자쪽의 CMP group의 보고서도 있구요. 중요한 건 두 가지 소스 모두 참조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가격을 지불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학생 시절이나 회사에서나 모두 이런 데이터를 인용한 문헌을 재인용하는 것이 많았습니다.

최근에 회사에서 좀 찾아볼일이 있어서 이런 저런 것을 뒤지게 되었는데, ITFIND에서 나오는 주간 기술 동향이라는 문서가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여러가지 기술의 동향을 잘 분석해 두었네요..

예전에 과학 기술 정책에 관해서 관심이 많아서 이런 저런 곳을 들락 거렸는데, 그주엥 하나인 과학 기술 정책 개발원의 보고서도 괜찮아 보입니다. (예전에 여기에 들어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살펴본적도 있는데, 거의~ 행정학 석/박사만 받더군요.. 요즘엔 어찌 되었는지 모르겠지만, 몇년전에 이거 보고 상당히 좌절했던 기억도 있습니다. ^^;)

여하튼, 관련 자료가 필요하신 분들께서는 다음 링크를 참조하세요..

ITFIND:주간 기술 동향; http://kidbs.itfind.or.kr/cgi-bin/WZIN/Webzine.cgi?mcode=jugidong
과학 기술 정책 개발원 보고서: http://www.stepi.re.kr/publication/list.asp?gubun=rept1&sort1=rept_rday&sort2=DESC

참.. ITFIND에서 발간하는 여러가지 정기 간행물과 보고서 또한 아주 값진 정보를 많이 담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