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개인적인

반 DRM.. 사실 표준화되지 않은 DRM이 문제 아닌가..

[wp]GPL [/wp]3.0에서 가장 많이 변한 부분이 DRM에 관한 부분이라고 합니다.
(저는 아직 GPL 3.0을 읽어보지 않았으며, ZDnet의 기사만을 참조하였습니다. )

얼마전 리챠드 스톨만(제가 존경하는 분들중의 한분인데요..)의 강연에서 DRM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고, 이 부분에 대한 많은 이야기가 블로그 스피어상에서 나오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DRM은 생각보다 넓게 퍼져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국내 서비스중에 “멜론”이겠고, 애플의 “iStore”겠지요..

그런데, 문제는 사용자가 특정 기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멜론에서 정식으로 구입한 음원은 절대 다른 기기에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는 명백하게 음원의 가격을 지불한 사용자에게 불필요한 제약을 가하는 것입니다.
이런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면, 하나의 DRM을 다른 DRM으로 변환하는 transcoding과 같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겠습니까..

여하튼, 이 문제에 대한 GPL의 대답이 아래와 같은 것이겠지요.

GPLv3의 개정 초안을 보면, GPL이 적용되는 소스코드에는 ‘권고적으로 또는 원칙적으로 소스 코드의 수정 버전을 설치 내지 실행하는데 필요한 일정 암호화 키나 인증 키가 포함되어야 한다. 소스 코드 사용을 제한하는 어떤 키가 하드웨어에 존재한다고 해서 소스 코드에 키가 포함되어야 한다는 위 요건이 바뀌거나 하지는 않는다,”고 규정하고 있다.
[ZDnet에서 인용]

하드웨어에 종속적이지 않아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도, 소프트웨어상에 키가 포함되어야 하기에 DRM이 무력화 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겠습니다만.. 문제 인식 자체에는 공감합니다.

그런데, 이게 anti-DRM으로 연결되어야 하느냐는 좀 아닌거 같습니다.

[wp]DRM[/wp]이란 것이 저작자의 권리를 지키자는 취지에서 개발된 것으로, 불편하지만 있어야 한다는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사실 [wp]DRM[/wp]과 [wp]GPG[/wp](GNU PGP)에 무슨 차이가 있겠습니까?
하나는 저작권을 보호하는 것이고, 하나는 개인정보 보호에 사용된다는 점 외에는 사실 같은거라고 보고 있거든요..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해야 하지만, 이를 과도하게 보호해서 정당한 가격을 지불한 사용자에게 제약을 가하면 안된다는 것이죠. 아니, 고객의 권리를 제한한다는 것이 얼마나 우스운 일입니까?

두 가지 권리를 모두 보호할 수 있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스톨만 아저씨가 이야기 하신것처럼) “인식의 변화”가 맞습니다만, 이게 어렵다면 차선의 방법은 “표준화된 DRM”이 되겠지요.

몇몇 표준단체에서 DRM관련 표준화에 대해서 고민하고 있습니다만, 각 업체간의 이런 저런 알력이 있으니 쉽지만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

그래도, 최대한 빨리 표준화가 되어야 할 문제겠지요..

외교부.. 외교부..

외교부라는 곳이 뭐하는 곳인지 이제는 잘 알수 없습니다.

얼마전 올라온 “대사관녀”라는 동영상..

위의 동영상을 보고 피가 거꾸로 도는 것 같은 느낌을 받았습니다.
예전에 기사에 난 “아니 민간인이 왜 우리 영사님을 보려고 해.. 영사님이 당신들 잃어버린 여권이나 찾아줘야 하나?”라고 이야기해서 잔잔한 감동을 주었던 영사 부인님의 말이 생각나더군요..

근데, 저를 참담한 기분이 들게 한건, 저런 사가지 없는 대사관 직원이 아니라..
그 해명을 한 외교부의 인식에 있습니다.

본문은 각자 찾아가셔서 보시고.. (여기)

말하자면, 8년전 일이다. 당시에는 “국군 포로 문제”에 대한 교육이 안되어서 그렇다. 현재는 교육해서 괜찮다. 여하튼 “미안하다”

조선일보식 끊어읽기인지 몰라도.. 제 눈에는 이렇게 요약되는데요..

국민에 대한 보호는 대사관/영사관의 가장 기본적인 의무이지 이것이 “국군 포로 문제에 대한 교육”을 통해서 이루어지고/이루어지지 않을 성질의 것이 아닙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것이 교육되지 않은 직원을 채용한 것이 외교부의 우라면, 혹은 이러한 기본적인 사항도 교육받지 못한 직원이 대사관으로 파견된 것에 대한 문제 인식이 없습니다.

단지, (제 느낌으로는) 미디어의 힘에 떠밀려 똥 밟은 느낌으로 외교적인 “유감 표명”으로 보이는 건 제 마음이 삐뚤어져서 일까요?

보노보노: 어른들을 위한 동화

공식적인 100번째 포스팅입니다. ^^; (몇 개의 비공개 포스팅도 있고, 지워진 포스팅도 있고 합니다만..)

뭔가 써야겠다고 생각했는데, 가장 좋은 것이 바로 제가 아바타로 쓰는 보노보노 이야기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제 블로그가 특정 전공 분야에 치우쳐있으니까요..^^;

보노보노를 처음 본건 아마도 대학 4학년때가 아닌가 생각됩니다.
그전까지는 만화책방이란 건 제 사전에 없던 단어였으니까요..

보노보노를 처음보고 느낀것은 “뭐 이런 썰렁한 만화가 다 있냐…” 였습니다.
하지만, 보면 볼 수록 끌리는 그런 느낌이랄까요?

보노보노

[출처: 네이버 영화 정보

숲속에서 일어나는 아주 소소한 이야기들이 아기 해달 보노보노와 친구 포로리, 너부리를 중심으로 풀어나가집니다.  그리고, 잔잔하게 이어지지요.
세상을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모습이라던지, 이야기들이 한장 한장 넘어갈때마다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 주고 어느틈에 얼굴이 함박 미소를 짓고 있게 됩니다.

사실, 제 나이또래 주변에는 보노보노를 아는 친구들이 상당히 적습니다.
보노보노가 알려진 직접적인 이유가 코믹스를 통해서라기 보다, 투니버스의 방영을 통해서 인데, 보노보노가 투니버스에서 방영되었을때 투니버스를 보았을 법한 친구들이 별로 없으니까요..^^;

보노보노

제가 쓰는 보노 보노 이미지.

최근에 Yes24에서 애니메이션판 전집을 엄청나게 저렴한 가격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지를까 말까 지를까 말까 쇼핑카트에 들어가 있는데, 저의 시청 패턴(DVD를 사면 안보더라..)으로 볼때 사도 안볼 확률이 너무 높아서 안사고 있습니다만.. ^^;

잔잔한 느낌의 웃음을 짓고 싶으신 분들은 오늘 보노보노를 보세요..
참고적으로, 이런 잔잔한 웃음을 지을 수 있는 책이 몇권 더 있는데.. 마음이 차분해 지는 ‘카페 알파’라던지, 전형적인 귀여운 캐릭터 위주의 만화인 것이 작품의 뛰어남을 가리는 것이 아닌가 걱정될 정도로 좋은 ‘아리아’같은 책이 좋습니다.

추가적으로, 보노보노의 주제음악만큼은 원판보다 투니버스 판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
오프닝, 엔딩 모두 아주 좋아하는 음악이죠.

 

http://www.youtube.com/watch?v=PdjXPDZ6i1o

투니버스판 오프닝

 

 

투니버스판 엔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