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Archives: babyworm

티맥스 윈도우

티맥스라는 회사에서 티맥스 윈도우를 만들었고, 7월 7일에 공개한다고 합니다.
제가 자주 가는 커뮤니티인 클리앙이나 자바월드, 그리고 블로그 스피어에서도 위작 논란이 심하죠. 윈도우 XP 티맥스 테마냐.. 라는 이야기 까지 있으니까요.

약간 앞서 나가는 것 같습니다. 7월 7일까지 기다리면 될 일이겠지요.

O/S를 만드는 것의 어려움 쉬움, 리누스 토팔스에 대한 이야기, ReactOS에 대한 이야기가 오고가고 있습니다. 사실 OS를 만드는 것이 어렵진 않습니다. 마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만드는 것이 어렵지 않은 것 처럼요. 하드웨어 쟁이들 텀 프로젝트로 32bit toy 프로세서 만드는 거나, 소프트웨어 쟁이들 텀 프로젝트로 toy OS를 만드는 것이 별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만드는 회사는 적고, OS를 만드는 회사는 적은 걸까요?
국내로 눈을 돌려보면, 자체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만드는 회사는 에이디칩스 정도이고, 자체 OS를 만드는 회사는 MDS 정도이겠지요[1]다른 회사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 제가 OS 분야의 시장을 잘 아는 건 아니니까요

두 회사 모두 embedded 분야를 선택했고, embedded 프로세서나 OS는 전문가가 보기에 일반적인 데스크탑 분야의 그것보다는 훨씬 간단해서 toy에 비견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다시 한번 질문을 드리자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이런 걸 하는 회사가 적은 걸까요?

제 사견으로는
첫째로 실제적으로 보이는 것 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이 갖추어져야 상업적으로 가치가 있기 때문입니다.

여담으로 회사 자체적으로 프로세서/OS를 만들어서 자체 제품에 적용하는 회사는 있어요.. 자체적으로 필요한 부분까지만 갖추는 것은 쉽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여러 사용자에게 문제 없도록 하는 건 또 다른 이야기라고 봅니다.

둘째로는 프로세서나 OS 모두 그 자체로는 할 수 있는 일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겁니다.
프로세서나 OS나 모두 어떤 일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서 선택되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 제가 한 1 GHz로 동작하고, 전력소모도 정말 적은 프로세서를 만들었다고 가정합시다. (정말?) 그런데, 거기서 돌릴 수 있는 프로그램이 극히 적다면 그 프로세서가 선택될까요? 그 프로세서가 독자적인 버스를 가지고 있고, wrapper마저도 만들기 어렵다면 그 프로세서가 SoC에서 채용될 가능성이 있을까요?
이 이야기는 바꾸어 말하면, 프로세서나 OS 모두 그 자체의 기술적인 어려움 보다는 그 주변을 갖추어나가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말해줍니다. 왜 ARM, MS등에서 생태계/커뮤니티라는 용어를 입에 달고 다니는지 생각하면 됩니다.
이 부분은 나중에 한번 다시 이야기할 예정입니다. ^^;

옆길로 이야기가 잠깐 새었는데.. 티맥스에서 윈도우를 만드는 건 상당히 의미있는 일입니다.
게다가 windows application과 호환성을 갖추어 잘 갖추어진 MS 기반의 S/W 사용하겠다는 것도 좋은 방향입니다. 

포토샵까지 동원하면서 언론 플레이부터 하는 건 상당히 위험한 일입니다만, 그만큼 사운을 걸고 하는 것이겠지요.
모 블로그에 언급한 바와 같이 무지(?)한 일반인과 정부를 속이고 주가와 돈을 먹기 위한 쇼~! 였다면 이만큼 일을 키운 만큼 파장도 크겠지요.
저는 개인적으로 7월 7일에 놀랄만한 일이 있기를 기원해봅니다. ^^;

참고적으로 GPL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시는 분이 많은데, 제 생각에도 GPL을 건드리지 않고 프로그램을 작성하긴 어려웠을 것이라 봅니다. (물론, FreeBSD쪽 코드 위주로 참고하셨나면 문제 없겠지요. modified BSD license는 훨씬 유연하니까요.. )
그렇다하더라도, GPL 코드에 대한 상용화가 불가능한 건 아닙니다. 단지 소스코드를 공개해야 하는 것이 문제겠지요. ^^; (여담입니다만, 그래서 티맥스 서체를 따로 만든지도 ^^; )

요즘 모모 프로세서 덕분에 공개 코드 라이선스 모델에 대하여 호되게 공부하고 있습니다. 🙂
그전에 KTUG에서 이 부분에 대한 논의가 나왔을때 잘 봐둘껄.. ^^;

Notes & References

Notes & References
1 다른 회사가 있다면, 알려주세요 🙂 제가 OS 분야의 시장을 잘 아는 건 아니니까요

개소식 정보

2009년 6월 29일 12시 부터

서울 그랜드 인터컨티낸탈 호텔 2층 오키트 룸
국산 프로세서 지원 센터에 대한 글을 하나 올렸었는데요. 정작 중요한 장소를 안 썼더군요. 🙂
위와 같습니다.
별다른 행사는 없고, 간단한 소개와 식사 정도랄까요. 저의 넓대대한 얼굴을 보시고 싶으신 분은 오세요 ㅋㅋ
사실 이 글은 매우 길게 적었었습니다. (제목도 길었었고 ㅋㅋ)
요즘 국산 프로세서 지원 센터에 대하여 이런 저런 일이 일어나서요.
특허청의 도움 요청을 받고 국내에서 프로세서를 하는 사람으로써 대의적인 측면에서 이 사업에 참여하기 위하여 회사의 수 많은 분들을 설득시켜서 참여했건만 양측에서 공격받고 있어서 정말 참담한 심정입니다.
정말 뭐가 국산 프로세서를 위하여 도움이 되는 것인지만 생각하면 참 쉬운 이야기인데 선의를 악의로 해석하고, 정치적으로 풀려고 하니 일이 더 힘들어 지는 것 같습니다.
많은 이야기를 적었었습니다만, 똑똑한 Textcube에서 글을 씹어주어서 민감한 이야기는 빼고 많이 순화해서 글을 쓸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이럴때는 컴퓨터의 에러가 얼마나 고마운지 모릅니다. 🙂
(예전에도 온라인 장터에서 노트북 살 때 사기 당할 뻔 했는데, 송금 이체하는데 컴퓨터가 다운되어서 모면한 적이 있지요..당시로는 상당히 큰 사기 사건이었습니다. 여하튼 제가 컴퓨터신의 보호를 받고 있는지도.. ^^ v)
여하튼, 지난 한 주는 제가 선택한 길에 대한 깊은 회한을 느낀 한 주였습니다.

AE32000C-Lucida 프로세서 기반의 첫 상용칩. CANTUS

이번에 회사에서 CANTUS라는 저가 MCU가 공식적으로 론칭했고, 론칭하자마자 양산 오더가 들어와서 양산에 들어갔습니다. 이 MCU는 저희 팀이 개발한 AE32000C-Lucida 프로세서라는 것이 처음 적용된 상용화 칩이지요.

EISC 프로세서로 저희가 주로 개발하는 프로세서는 에너지 효율과 DSP 연산 처리가 강화된 AE32000C 라는 ISA를 위주로 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개발 방향이 비용 효율성과 에너지 효율성이라는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지지요. 분기 예측 기능도, 파이프라인도, 캐시 구조도 이쪽에 방향성을 두고 개발되었습니다.

기존에 AE32000C 시리즈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AE32000C-Lucifer프로세서[1]국내 S사를 비롯해서 많은 라이센스가 이 프로세서를 통하여 이루어졌습니다.를 기반으로 기반 성능을 10% 이상 높이고 면적은 줄이고, 에너지 효율도 높이고, 디버거 형태나 효율도 높이고.. 이런 형태로 개발된 것이 AE32000C-Lucida 프로세서지요. 사실 내부적으로 개발이 완료가 된 것은 몇년 되었고, 라이센스나 데모 칩등은 몇번 나왔는데, 이제야 첫번째 상용칩이 나왔으니 상용화라는 것이 참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긴 합니다.
이번에 나온 CANTUS는 범용 MCU로 응용에 필요한 수준의 SRAM과 NOR flash가 내장되어 있기 떄문에 3.3V 전원과 크리스탈만 연결하면, 동작시키는데 문제가 없다는 장점이 있죠. 좋은 음질이 필요치 않다면 CODEC이 내장되어 있고, EISC를 위한 MP3 디코딩 프로그램이 제공되니까 간단한 MP3 플레이어를 만드는 건 아~주 간단하죠. (물론, 좋은 음질을 원한다면 audio codec을 붙이는 것이 깨끗하죠.. 이를 위한 인터페이스도 있고요)
여담입니다만, 저는 저희회사에서 이런 MCU를 많이 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해요.
아키텍쳐를 보급하는데는 수량이 많지 않은 멀티미디어 부분 보다는, 수량을 많이 소화하는 MCU가 더 좋을 것이니까요. (AVR같은 것 봐도 그렇지요 ^^;)

Notes & References

Notes & References
1 국내 S사를 비롯해서 많은 라이센스가 이 프로세서를 통하여 이루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