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Archives: babyworm

자동차 시장을 겨냥한 Cortex-R4F

ZD net을 보니 [wp]ARM[/wp]이 MPR fall에서 [wp]Cortex-R4F[/wp]라는 프로세서를 발표했다고 하네요.
(기사 원문은 여기에 있습니다.[기사 출처] http://www.zdnet.co.kr/itbiz/press/network/etc/0,39032102,39152022,00.htm)
Cortex-R4는 제가 이전 posting에서도 간략히 올린 적이 있습니다만, IPC(instruction per cycle) matric의 관점에서 이전의 프로세서에 비하여 많은 향상이 있는 프로세서입니다.  실질적으로 ARM에서 Cortex시리즈를 발표하면서 main stream market을 보고 만든 프로세서이기도 하고요.. (타겟 마켓으로 보아 ARM11 마켓을 대체할 것 같습니다.)

Cortex-R4F 프로세서는 F(fault-Tolerant)라는 약자에서 알수 있듯, 시스템에서 발생가능한 오류에 대하여 대처하기 위한 오류교정코드(ECC: Error-Correcting Code) 메모리, 인터커넥트까지의 오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사실 cortex-R4F에 내장된 프로세서 자체는 fault-tolerant embedded microprocessor라기에는 좀 기능이 약하죠.. 물론 ECC같은 처리 기능을 processor pipeline안에 내장했다는 것은 추가적인 시간 지연을 적게 요구하니까 좋은 생각입니다만,Cortex의 processor core 자체의 falat를 교정하는 방법보다는 인터페이스 과정(메모리든, I/O든..)에서의 오류에 중심을 둔것으로 보입니다.
하긴,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항공우주쪽의 application을 위하여 개발된 프로세서와 같이 reduncency를 이용한 fault-tolerant이 적용된 프로세서를 채용하기는 무리가 있겠지요.

Cortex-R4F는 합성 옵션이 있는 부동소수점 처리장치(FPU: Floating-Point Unit)를 제공한다는데, 아마도 configurable FPU 겠지요. [wp]Mathwork[/wp]([wp]Matlab[/wp]을 만든회사)와의 공동 작업도 있고하니, 편의성은 아주 좋겠습니다.

제일 부러운점은 ARM이 인수한 phyciscal library 제작사인 [wp]Artisan[/wp]의 Advantage 라이브러리를 ARM에 최적화해서 제공해 준다는것…. (개인적으로는 ARM의 Artisan 인수에 좌절이었습니다. 같은 RTL에서 더 좋은 합성 결과를 보장해 주는 마법이니까요..)

automotive라는 분야가 embedded system에 있어서 big market으로 떠 오르고 있다는 사실과 ARM이 telecom분야 이외의 다른 마켓으로의 확장을 노리고 있다는 점이 서로 잘 맞아서 이런 결과가 나온듯 합니다. 이전의 cortex-M시리즈도 그렇구요.. 아직까지는 multimedia 나 network쪽에서는 고전하고 있지만, ARM이라는 회사의 R&D 역량이 최근에 상당히 발휘되고 있으니 여러가지 재미있는 결과가 나올 것이라 봅니다.

덧붙여서.. 기사상에 “이중 명령어 이슈(Dual Instruction Issue) 능력을 보유한 향상된 마이크로 아키텍처를 갖추고 있는”이라고 되어 있는데.. 흠.. 제 기억에 Cortex-A가 dual issue이고, Cortex-R은 single issue로 알고 있었는데 Cortex-R4F에서 새로 추가된 feature인지 모르겠네요..

또 덧붙여서.. ARM이 여러가지 시도를 할때마다 저로서는 좌절스러운 경우가 많습니다.
Falut-Tolerant 기능도 예전에 검토해 본적이 있었던 내용인데, 이 기능을 넣음으로서 상승하는 system 비용(프로세서가 아니라..)으로 인해서 채용하고자 하는 회사는 극히 적었고, 회사의 인력은 한정되어 있어서 나~~~~중에 개발하는 것으로 잠정적인 결론을 내렸었거든요. 쩝.. 인력과 돈의 문제입니다. 정말..

트래픽 초과… 로봇의 힘..

어제 오후에 갑작스럽게 트래픽이 초과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제 홈페이지와 보드, Wikipage는 그야말로 개인적으로 사용하니 별문제 없겠고..
블로그도 그리 인기있을만한 블로그가 아니니 방문자로 인한것이 아닌듯 하더군요..
(블로그 상에는 많은 사용자 방문수가 나오는데.. Google analysis 결과로 미루어보아 실제 방문자수는 하루에 50명 이하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도, 초기에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많아봤자 10명 남짓일 것이라 예상했던 것에 비하면 예상외로 많은 분들이 찾아주시는 블로그입니다.. RSS 사용자 분들도 생각보다 많구요..^^ 감사드립니다. )

robots.txt를 써서 로봇 방문을 배제시켰더니만 트래픽이 아주 많이 줄었습니다. 로봇에 의한 것이라는 심증이 가는군요..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봇들이 너무 트래픽을 차지하는군요.. -_-;

테터 플러그인 중에 로봇 방문자수 배제를 썼더니.. 방문자수도 뚝! 떨어졌습니다.
실 방문자수만 나타내는 것인데.. 음.. 마음의 준비는 있었지만 좌절스럽긴 하군요.. ^^;

호스팅 업체에 로그 분석을 의뢰했으니, 실제로 어떤 문제였는지는 오늘 정도에 나오겠지요..

Sun의 Project Blackbox

오늘 ZDnet에 재미난 기사가 떠서 적어봅니다.

Project Blackbox는 데이터 센터 유닛하나를 통째로 화물용 컨테이너에 넣어두고, 필요할때 이를 이동/확장하는 개념이라고 생각됩니다.

시스템에 대한 Sun의 새로운 시도인데, 아무래도 서버실 공간 문제로 고민하는 기업들에게는 좋은 대안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건물을 새로 만들거나, 따로 건물의 공간을 할당하지 않고 서버실을 확충할 수 있으니 말입니다.

문제는 네트웍과 전력선의 연결일텐데요.. 네트웍이야 어찌 되겠지만, 전력선은 일반적인 환경에서 쉽지 않아보이는 군요. 
국내환경에서 지상에 뭐를 놓는건 힘들테니, 건물 옥상에 쌓아둔 컨테이너들을 보게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구글처럼 컨테이터 천정에 태양열 판넬을 올리는 옵션을 두면 어땠을까요..
전력선은 여전히 필요하겠지만 UPS 충전용 정도로는 사용할 수 있을듯 한데..

[출처] http://www.zdnet.co.kr/news/enterprise/etc/0,39031164,39151996,00.htm
[#M_보기..|less..|

제공:썬마이크로시스템즈

화요일, 썬은 표준 20피트 컨테이너 안에 여러 가지 컴퓨팅 장비, 전기 장비 및 냉각장치 등을 장치한 ‘프로젝트 블랙박스(Project Blackbox)’라는 제품을 선보일 계획이다.

제공:스테판 섄클랜드/씨넷 뉴스닷컴

썬의 신임 CEO 조나단 슈와츠는 캘리포니아 멘로파크에 위치한 썬의 설비 외부의 한 주차장에서 위 제품을 홍보할 예정이다.

제공:스테판 섄클랜드/씨넷 뉴스닷컴

썬의 고급기술 담당 부사장 데이브 더글러스는 이 기술이 현재 데이터 센터 공간이 한계에 이른 기업체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한 기술임을 의심치 않으며 이를 재난복구를 위한 백업용 컴퓨팅 장비제공을 위해서나 원격지에서의 사업운영을 위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제공:스테판 섄클랜드/씨넷 뉴스닷컴

이들 기업체는 불용 부지 상에 위 컨테이너를 여러 개 쌓아 올릴 수도 있다. 그런 다음 네트워크, 전력선, 냉각수 라인을 설치하기만 하면 곧바로 업무를 시작할 수 있다. 더글러스에 따르면 공기 필터링 및 방습기능이 있는 이 컨테이너는 자그마치 10톤이나 되는 장비를 수용할 수 있으며 중력의 9배에 상당하는 충격을 견딜 수 있는데 이를테면 6인치 높이에서 컨테이너를 떨어뜨려도 장비에 아무 이상이 없다고 한다.

더글러스는 “대형 거래처들과 많은 논의를 했다. 이들 중 70%는 데이터 센터의 공간, 전기, 냉각기능이 한계에 다다른 상태이다. 데이터 센터와 관련하여 문제가 없는 거래처는 거의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내년 여름쯤에 프로젝트 블랙박스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라 밝혔다.

오늘날 대규모 기업들은 자사 컴퓨터 장비를 전통적 형식의 데이터 센터에 장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데는 서늘한 공기를 순환시켜 서버를 과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복잡한 설계를 해야 하는 등 많은 돈이 들어간다.

로버트 프랜시스 그룹 애널리스트 제럴드 머피는 컴퓨팅 장비를 재난 지역이나 사업이 확대 중인 원격지로 이동시켜야 하는 경우 블랙박스가 매력적 수단이 될 수도 있으나 이는 데이터 센터의 주류가 될 수는 없을 거라고 말했다.

머피는 “블랙박스의 기본 개념에는 어느 정도 사업성이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는 일시적일 수 밖에 없다. 컴퓨터 제조업체들이 제품의 성능 및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으므로 기존 데이터 센터 내에 보다 많은 장비를 수용할 수 있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최초 설계 단계에서부터 방향을 잘 잡아나가는 것이 더 좋은 방법이라 본다,”고 말했다.

머피는 블랙박스를 이용하고자 한다면 컨테이너로 전기공급이 가능하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지 그리고 디젤 발전기 및 컨테이너의 장치가 지역규제 내지 환경규제에 위배되지는 않는지를 우선적으로 확인해야 한다고 말한다.

머피와 달리 썬은 신속한 대응이라는 개념에 주목한다. 더글러스는 데이터 센터를 새로 설계하고 재원을 마련하고 건설하는데 자그마치 3년이라는 시간이 걸린다고 말했다.

머피는 썬이 위 개념을 처음 생각해낸 업체는 아니라고 말한다. 머피는 6년 전 기밀작업을 수행하는 거래처를 위해 컨테이너 기반 컴퓨터 시스템을 설계한 바 있다. 머피는 “썬은 자신이 이를 처음 고안했다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고 말했다.

복잡성 문제 해소
썬은 컴퓨팅 업계에서 복잡성을 해소하고 이러한 복잡성을 보다 단순하고 표준화된 기술로 대처하려는 시도로써 이 프로젝트 블랙박스를 고안해 냈다.

썬은 데이터 센터 시장에 제품을 공급하는 업체로서 이른바 ‘무분별한 전문화’라는 것을 개탄해왔다. 기업체는 표준화된 단순 장비를 채택하여 전문가로부터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 받는 대신 그들 자신만의 ‘마구잡이식’ 데이터센터를 만들어낸다. 썬이 사용하기 간편한 모듈에 대한 서비스를 제품화하고 싶어하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제공:스테판 섄클랜드/씨넷 뉴스닷컴

이 해상운송용 컨테이너는 이동은 가능하지만 이동 중 데이터 센터의 전원은 꺼져있어야 한다. “우리는 ‘이동이 가능한’ 프로젝트 블랙박스를 구상했지 이를 ‘이동 중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상하지는 않았다. 컨테이너를 6인치 높이에서 떨어뜨려도 아무 이상이 없다,”고 더글러스는 말했다.

제공:스테판 섄클랜드/씨넷 뉴스닷컴

컨테이너에 아무 컴퓨팅 장비나 장치할 수 있는 것은 더욱 아니다. 예컨대, 고성능 E25K서버 및 스토리지텍 테이프 라이브러리를 위해서는 컨테이너 설계를 달리해야 한다.

썬은 표준 서버 구성안을 직접 제안할 것인지 아니면 고객이나 협력업체들이 컨테이너 내 설치할 시스템을 결정하도록 할 것인지를 놓고 고심 중이라고 더글러스는 말했다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