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hor Archives: babyworm

가주히토 야마시타.. 이…

가주히토 야마시타.. 山下和仁
인간같지 않은 연주 기법을 지닌 기타리스트..

기타를 잡아먹을듯한 연주 모습..
그리고, 현란한 기교속에 있었던 감성이 빛나는 앨범까지 발표한… 한때 가장 좋아했던 클래식 기타리스트..

예전에 야마시타의 기타 연주 비디오를 보면… 사실 감탄과 더불어 ‘이게 인간이야?’라는 욕도 같이 나왔습니다. ^^;
너무 기교적이라는 비난도 많이 받았지만… 연주에 대한 열정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사실 예페스 아저씨도 너무 기계적이라는 소리를 들었습니다만, 정말 좋은 웃음을 지으시는 할아버지였지요.. 결국 한국에 다시오시겠다는 약속을 못 지키시고 돌아가셨지만 말입니다…)

야마시타는 기타로 표현할 수 있는 한계에 도전하고 있다는 느낌입니다.. 이제는 좀더 감성적이 되었지만 말입니다.

제가 야마시타의 음악을 좋아하게 된건 92년도에 들었던 전람회의 그림이라는 곡을 듣고 경악한 이후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94년인가.. 비발디 사계 비디오, 드보르작의 신세계로부터 편곡..

도저히 넘을수 없는 한계라 생각되는 기타리스트지요..(뭐 그렇다고 다른 기타리스트를 넘을 수 있다는 이야기는 절대 아닙니다.. ) 97년도엔가.. 비발디 사계중 봄(중 1악장), 겨울(중 2악장), 가을(중 3악장)을 연주한 적이 있지만.. 아주 우스운 수준으로 연주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래도 그 당시에는 정말 죽도록 노력했습니다.. 잘때로 이미지 트레이닝을 했을정도니까요.

찾아보면 cd가 몇장 있을듯 한데.. 우선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것만 몇개 올립니다.


무소르그스키 전람회의 그림중 프롬나드와 난장이… 전 개인적으로 비들로를 좋아합니다.
힘들때 이중섭의 힘쓰는 흰소라는 그림과 비들로(우마차)라는 곡이 겹쳐서 생각나는 건 제가 소띠라 그럴까요..^^; (플레이 버튼 누르세요.. 화질은 좀 나쁨니다)



알론소의 결혼중 간주곡이었던걸로 기억하는데.. 예전에 트리오(던가 듀엣이었던가..)로 연주했던 기억이 있네요.. (보시려면 플레이버튼; 화질은 좀 좋습니다.)


바흐 바이올린을 위한 파르티타중 샤콘.. 지직거리는 LP판의 세고비아 연주가 비오는 날엔 더없이 좋습니다만..야마시타의 힘있는 연주도 나름 좋습니다. (플레이 버튼 누르세요)


또다른 웹디스크(실은 웹메일) 서비스..

블로그를 돌아다니다가 발견한 웹디스크 서비스인 METQ입니다..[원본 내용]
(http://metq.com/company/m_freemail.htm)
찾아가보니, 웹 하드가 아니라.. 10G 웹메일이 더 어울리겠습니다.
실제 제목도 그렇구요..
(아.. 실은 1G 웹디스크.. 10G웹메일이군요..)

10G를 준다고 하는군요..  서버도 국내에 있어서 빠르고 그렇답니다. 혹시 관심있으신 분이 있으실지요?

예전에 포스팅했던 AMD의 웹디스크 서비스도 있기는 합니다만.. 요즘엔 웹디스크 서비스가 너무 흔해졌군요..

근데.. 왠지 좀 아직까지는 신뢰가 안가네요. 가입시 원하는 사항도 많고.. ^^;
좀 검증이 되면 써봐야겠습니다.

EISC 프로세서 관련 신문 기사 하나

오늘자 전자신문에 제가 개발하고 있는 [wp]EISC[/wp] 프로세서 관련 기사가 전자신문에 나왔네요..

사실 이 컴파일러 최적화 작업은 회사내(적어도 프로세서팀)에서는 숙원사업과 같은건데.. 아쉽게도 국내 컴파일러 전공 교수님들께서는 “논문 주제가 되기 힘들기 때문에” 연구를 잘 맏아주시지 않았습니다. 저희 내부 컴파일러 팀은 자체적으로 스트레스를 엄청 받고 있었구요..

다행이 [wp]GCC[/wp]에 정통하신 고려대 김선욱 교수님께서 이 프로젝트를 맡아주셔서(사실 예전에 뵙고 말씀 나눈이후에 이분이 맡아주시길 내심 기대하고 있었습니다..), 좋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아직은 개선해야 할 부분이 상당히 많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프로세서 만드는 입장에서는 컴파일러의 개선보다 좋은 소식이 없습니다. ^^;
어셈블리로 작성해서 비교했을때는 분명히 아주 좋다고 생각하는데.. 컴파일 해보면 컴파일러 성능 때문에 벤치마크 결과가  생각보다 안나오는 경우가 종종 있었거든요..

저희 회사 GCC나 linux port된 소스는 아마도 저희 회사 ftp에서 쉽게 구할 수 있을것이라 생각됩니다. (공개 커뮤니티 지원 인력 문제로.. 적극적으로 공개하고 있지는 않습니다만..) ^^;

[기사 출처: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610200152]

[#M_기사보기..|닫기|
에이디칩스가 33% 가량 성능이 향상된 컴파일러를 개발, ARM이 장악하고 있는 CPU 코어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컴파일러란 고급언어로 쓰여진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바꿔주는 프로그램으로, 반도체 코어 개발환경의 핵심 요소다.

에이디칩스(대표 권기홍·사진 http://www.adc.co.kr)는 고려대 김선욱 교수가 이끄는 컴파일러 연구실과 공동으로 32비트 EISC용 컴파일러 버전 2.5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 컴파일러는 서울시 산·학·연협력 사업인 나노 IP·SOC 설계기술혁신 사업단의 지원을 통해 에이디칩스와 고려대가 힘을 합쳐 개발한 것으로, 임베디드 벤치마크 프로그램 (EEMBC)를 실행해 성능을 분석한 결과 기존 EISC 컴파일러보다 33.6%의 성능 향상을 보였으며 ARM9 프로세서와 비교해 약 6%의 성능향상을 결과를 얻었다.

에이디칩스는 ARM9과 같은 급의 국산 CPU 코어 ‘확장명령구조(EISC) AE32000C’를 개발했으면서도 그동안 컴파일러를 비롯한 개발환경을 뒷받침해주지 못해 ARM의 장벽을 뛰어넘지 못했다. ARM9은 전세계 CPU코어 시장의 80% 이상을 장악한 ARM의 대표적인 CPU코어로, 고성능 마이크로컨트롤러나 퀄컴의 CDMA 베이스밴드 칩을 비롯한 다양한 반도체의 코어로 사용되고 있는 제품이다.

[기사 출처: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610200152]_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