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달 들어서면서 포스팅이 갑자기 적어졌습니다.
직접적인 이유는 검증 일을 시작하면서, 배경 지식을 쌓아두기 위해서 보는 책과 기사들이 너무 늘어나서 머리속에서 정리가 되기 전에 이 부분에 대하여 포스팅 할 엄두가 안나구요..게다가, 검증 작업을 flow에 맞추어 한번 제대로 해 보려고 시작했는데, 일이 끝나기 전에 어설픈 것을 올리기도 뭐해서 그냥 그냥 시간만 흐르고 있습니다.
주말에 MPR이나 EEtimes news라도 보면 posting할 것인데, 요즘에 주말에도 검증쪽만 파고 있어서요..
게다가, 초기에는 HVL에 대해서도 고민이 많았는데, C와 systemverilog를 이용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고.. system verilog에 대해서는 저 자신에게 많은 공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어서 열심히 파고 있는 중입니다. verification에서는 design과는 달리, language가 가진 모든 힘을 끌어내야지 좋은 검증 환경이 될테니까요.
제대로 해 보려고, Verification Plan을 짜고, DITL document를 쓰고, Breakout document를 작성하면서 checker model, coverage model 같은 것을 구상하고 있는데..
예전에 해 봤던 pseudo random verification이란 것이 얼마나 단순하게 생각해서 한 것인지 자신을 질책하게 됩니다. 그때 조금만 더 앞으로 나갔었다면 지금은 좀 더 좋은 verification infrastructure상에서 일을 하고 있을텐데 말입니다.
개인적으로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서 얻으려고 하는 것 중에 제대로된 검증 환경이 포함되어 있고, 이를 사내에 퍼트리기.. 라는 계획이 있으니까.. 좀더 general하게 만들려고 하는데.. 생각보다 이것이 쉽지 않네요..
처음 한 걸음 부터 너무 크게 내딛을려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없잖아 있지만, 이 프로젝트에만 적용될 수 있는 검증 인프라가 되더라도 generalize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작성하면 나중에 확장이 좀더 쉬워지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머리속이 정리되거나, 약간 더 시간이 된다면 포스팅이 더 많아지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