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s: Verification

verification 시작..

예전에 99년에 학교에서 첫 버젼의 [wp]EISC[/wp]를 만들때는 검증에 별 생각이 없었습니다.
뭐, 프로그램 몇개 돌리면 되겠지.. 이런 느낌이랄까요..


생각해보면, 학교에서 만드는 것은 “학술적으로” 의미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뭔가 이런 저런 시도를 해 보는데, 실제 중요한 동작 자체는 “벤치 마크 프로그램이 돌아가는” 정도로 그치고 말았었습니다. 그러다보니, 다양한 상황에 대한 검증이나 인터럽트 쪽은 아무래도 부족했었습니다.

학생 시절과 비교하였을때 회사에 와서 가장 많이 발전한 부분이라 생각하는 것은 “설계의 질”입니다. 특히, 검증의 질이 많이 향상되어가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설계의 질이 향상하는 것이겠지요.
회사에서 “검증의 중요성”을 심각하게 느끼게 되었고 몇년동안 이런 저런 검증 기법들을 적용하기도 했는데, 아무래도 실무에서 의미있는 결과가 나오기에는 미흡한 상태였습니다.
게다가 국내에서는 검증을 업으로 삼으시는 분은 상당히 적으신듯해서 여러 분들과 만나서 의견을 나눠봐도 “검증의 중요성”은 인식하지만, 검증을 업으로 삼는 분(소위 verification engineer)은 아직 만나보지 못했습니다. 음.. S사나 L사 같은데는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외부로 노출이 안되는 것인지.. 논문도 그렇고.. 설계하시는 분이 검증도 같이 하는 경우가 더 많죠.. (혹시 검증을 업으로 하시는 분계실까요?)

여하튼.. 이번 프로젝트에서는 제가 수행하는 설계 분량을 최대한 줄이고, specification과 verification쪽으로 집중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프로젝트라는 것이 항상 그렇듯(^^) 잡은 일정보다 스펙 작성이 오래걸렸고..이런 저런 일을 하다보니, 이번달에 들어서야 이 프로젝트에서 제 관심의 대상이었던 verification쪽에 집중해서 verification plan을 짜고 있습니다. (사내 정보 보안 관계로 ^^; 일반론 이상을 이야기를 할 수는 없습니다만..)

이런 과정에서 Verilog PLI이니 [wp]assertion[/wp]이니, [wp]SCV[/wp]와 같은 것을 다룰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