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식민지가 되는 일이 있다면, 국외로 나갈거다.

오늘 회사사람들이랑 저녁을 먹으며 이런 저런 이야기를 하다보니, 약간은 민감한 정치이야기가 나왔다.

(나를 포함해)다들 좀 젊은 사람들이다보니, 노무현 대통령에 대한 이런 저런 이야기.. 한나라당에 대한 이런 저런이야기..

못살겠네 어쩌네 해도, 추석 연휴라고 해외 여행이 미어 터진다더라..
힘들어 못살겠다는거.. 다 거짓말이다..
단지, 예전보다 씀씀이를 좀 줄여야 하는 것이 못살겠는 건가..

머 이런 류의 이야기를 하다가.. 시간이 거슬러, 박정희 전대통령 이야기가 나오고.. 친일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뭐.. 그런 분위기였다.

우리는 보통 역사에서부터 배운다고 한다.

내가 역사로 부터 배운건 바로 “대한민국에 전쟁나면, 혹은 낌새가 보이면 뒤도 돌아보지 말고 해외로 나가라”는 것이다.

이게 최선책이야.
물론, 외국나가서 고생해야겠지만, 식민지 혹은 전쟁터에 비할 바겠어?
게다가, 돈좀 벌고 유명한 사람이 된다면 “망국에 한을 가슴에 담고 열심히 노력한 훌륭한 인물”이 될 것이고..안되더라도, “타지에서 망국의 설움을 받으며 살아간 사람”이 되겠지.

차선책은, 친일파가 되는거지.. 그것도 대충대충 말고.. 제대로
그리고, 해방될때 잘 갈아타서, 정권 잡음 대박, 신문사라도 하나 차리고, 회사나 학교 하나 지으면 욕은 안 먹을 꺼다.
적어도 “이 나라 계몽에 앞장선 공로”나 “이 나라 근대화에 앞장선 공로”가 있는데, 그깟 친일 행위가 뭐 대수겠어.. 처음에 십수년쯤 욕좀 먹겠지만.. 내 돈 받아서 큰 넘들이 좀 지나면 동상도 세워줄것인데..

최악의 선택은 독립운동이야
죽도록 고생하지.. 제대로 못하면 대접도 못받지..
후손들은 친일파 밑에서 거지꼴을 못 면하지..
정말 잘 되어서 동상이 서면 뭘해.. 십수년쯤 지나면 그 옆에 친일파 동상이 같이 설텐데..

젠장.. 이런 내가 왜 이런 교훈을 역사로 부터 얻어야 하는 거지?

내가 이 나라에 원하는 건 하나다.

나라를 위해서 자신을 바친 분들을 아끼고 존경할 수 있는 사회가 되길..
자신을 위하여 나라를 바친 놈들에게 욕할 수 있는 사회가 되길…
그런 정의가 바로서는 나라가 되길..

AMD Torrenza: 서버 통합의 방법을 모색하다.

AMD에서 비지니스 환경을 위한 “Torrenza”, “Trinity”, “Raiden”의 세 가지 신기술을 발표했습니다. 보도자료를 보면 거의 마케팅적인 용어로 도배로 되어 있습니다만, Torrenza는 AMD64 프로세서와 이종(혹은 동종) 프로세서간의 서버 버스/소켓에 대한 공개 규약이고, Trinity는 보안,가상기술,관리를 통합하는 하나의 공개 전략이며, 코드명 “Radien”은 일종의 클라이언트 기술로 파악됩니다.
(보도자료 전문은 http://www.amd.com/us-en/Corporate/VirtualPressRoom/0,,51_104_543~109409,00.html)

하지만, Torrenza, Trinity, Raiden 모두 선언적 의미가 강했었으며 실체를 파악하기 힘들었는데, MPR에서 Torrenza에 대해서 어느정도 궁금증을 해소하게 해주는군요.

”]

MPR에 따르면, 토렌자 기술은 서버 환경을 위한 공개 버스/소켓 아키텍쳐로서 HyperTransport 2, HyperTransport 3 그리고, HTX 에드인 카드 인터페이스, HT3 기반의 1207 소켓을 구성요소로 취하고 있다고 합니다.
AMD는 이 토렌자 기술이 서버들에 있어서 표준 인터페이스 기술이 되도록 하기 위해서, 다른 파트너사들과 함께 Opteron Rev F에서 사용된 1207핀 소켓에 기반을 둔 Torrenza Innovation Socket(TIS)라는 공통 소켓 표준을 같이 개발하고 있다고 하네요.

현재 Common interface partner사로는 Tarari, RMI(알케미 인수한 회사죠?), Bay microsystems, DRC, Celoxica(셀록시카가 들어있다는 건 좀 의외네요..), XtremeData, Qlogic과 같은 많은 분야의 회사들이 망라되어 있고, Common Socket Partner사로는 IBM, Cray, Sun Microsystems가 있습니다 (인텔의 제외한 서버용 프로세서 규모가 있는 서버용 프로세서 회사는 다 모인거 아닌가요? ^^;)

토렌자 표준에 따르면, AMD의 opteron프로세서가 1207 소켓에 장착되어 HT 버스로 연결되는 것과 같이 타사의 프로세서 역시 1207핀 소켓에 장착되어 HT버스로 서로 직접 통신이 가능하고 (코프로세서로 인식되겠습니다만), 그 이외의 프로세서 역시  HTX를 이용하여 장착 가능하게 된다고 합니다.

즉, 토렌자가 실현되는 경우 서로 다른 이종간 멀티 프로세서 환경이 아주 쉽게 구축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겠습니다. 이종간 멀티프로세서 시스템의 구축을 통한 가장 큰 장점은 아마도 virtualization이 아닐까 생각도 되는데, 한 시스템에 두가지 이종간 CPU를 설치하고 해당 CPU의 applicaiton을 자유롭게 실행시킨다는 점이 실현 가능하겠습니다.

소프트웨어가 어떻게/얼마나 지원해 줄지 미지수입니다만.. 아마도 Tirinity라는 플랫폼이 이러한 이종간의 시스템에서 자유로운 보안, 가상화, 관리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론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AMD도 생각이 있을테니까요..)

처음으로 발표된 x86기반의 공개 소켓/인터페이스 표준이니 기대가 됩니다.
(인텔의 반격도 기대되는 건 사실입니다만, 인텔의 “플랫폼 맘대로 바꾸기”에는 나름의 철학이 있으니.. ^^;)

열린 음악회가 너무해..

사진 출처: http://photo.epg.co.kr/photo/epzine/article/2006/5/13/10624_1.jpg

국군의 날 기념 열린 음악회..
군 복무중인 가수들을 볼수 있어서 좋은 기회이긴 한데..

문희준군의 열창 뒤에 김범수가 나올건 또 뭐람..
문희준군 군대가서 가창력이 좀 나아졌나.. 하고 유심히 들어보고 있었는데, 바로 뒤에 김범수가 나와서 노래 부르면 어쩌라고…좀 심한 편성아냐..

문희준군이 아이돌 출신에서 락커로 변신하고.. 여러가지 입방정(그중에 많은 건 거짓이라지만..)에 안티가 많이 늘어났지만..
어린나이에 많은 팬들이 좋아해주다보면 그럴수도 있다고 봅니다.
예전에 허재 아저씨도 나이들어서 회고하길 “모두 내가 최고라고 하니, 정말 최고인줄 알았다..그땐 어렸다”고 하지 않습니까..

문희준씨가 열심히 노력해서 안티팬을 음악으로 인정받게 해주는 날이 올수도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