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개인적인

LaTeX을 이용한 문서 작업

대부분의 회사에서 MS office를 기반으로 문서 작업을 하실텐데요. 저희 회사도 별다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회사에서 “워드”로 문서 작업할 때 고생을 많이 하는 것이, 그림이 많아지면 열 때 한참 시간이 걸린다거나, 다른 부분의 내용을 갖다 붙이면 열심히 붙여둔 제목 순서가 어긋나 버린다던지.. 그런 일이 빈번합니다.


개인적으로 CVS의 열성적인 사용자인데, [wp]CVS[/wp]에서 binary형식의 word파일은 사실 버전 관리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다고 볼 수 없죠(수많은 카피본을 만들뿐이니까요.). 그래서, 한 2년 전부터 간단한 문서는 MS word로, 매뉴얼과 Technical report는 [wp]LaTeX[/wp]으로 작성하고 있는데 아주 성공적으로 정착했다고 개인적으로 자평합니다.


많은 분들께서 LaTeX를 들어보셨을텐데, 많이들 힘들어 하는 이유가 “한글 사용이 어려워서..”, “설치 운용이 어려워서”입니다. 텍스트 창에서 명령을 써야 한다는 점은 적어도 프로그래밍 언어를 많이 사용하는 사람들한테는 별로 단점은 아닌 것 같습니다. (가끔 귀찮을 때는 있지만 말입니다.). 그런데, 이런 설치/운용에 대한 문제는 KTUG에서 제작한 KC2006을 기점으로 사라졌다고 생각합니다. 팀의 후배들한테 소개해주었는데, 다들 쉽게 설치/운용하고, 어렵지 않게 적응하더군요.


이제, 저희 팀에서는 내부적으로 [wp]LaTeX[/wp]/KC2006(실제적으로는 KC2006-2)을 기반으로 하는 환경에서 작업을 하려고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업 있어서 몇 가지 장점이 생기는데요..



  1. PDF writer가 필요 없다. (LaTeX은 양질의 PDF를 만들어 줍니다!)

  2. 공동 작업에 있어서 CVS를 이용하고, 이에 따라 문서의 버전 관리가 쉬워진다

  3. 자유로운 comment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좀더 명확한 문서 작성이 가능하다.

  4. 일관된 문서 형식을 유지하기가 수월하다

  5. 조건부 문서 작성이 쉽다. (어떤 peripheral이 포함되는지, 어떤 feature가 포함되는지에 따라 compile time에 문서를 포함하는.. single sourcing이라고 하신 거 같은데..)

  6. 소소하지만.. 제가 회사 문서를 위하여 작성한 Acroedit 스크립트, 회사 문서 스타일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verilog 소스 코드를 위한 스크립트 라던지.. ^^;

위의 장점은 워드로도 가능합니다만, LaTeX을 사용하면 더 효과적이 되는 부분이지요. 물론, 단점도 존재합니다. 어찌보면 제가 LaTeX을 사용하면서 느끼는 문제일 수도 있습니다.



  1. 표 작성이 어렵다.
    하드웨어쟁이들은 비트당 뭐뭐뭐 하는 걸 표로 많이 표시하는데, LaTeX로 작성하면 좀 귀찮아집니다. 이럴때는 Excel로 표를 만들고 OLETeX를 이용해서 그림으로 변환한 다음에 TeX에 삽입하는 편법을 사용합니다. [1]OLETeX는 OLE기능을 위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만, 저는 개인적으로 EPS 생성 프로그램으로만 사용합니다. ^^; WMF2EPS를 원래 썼었는데, shareware이기도 하고.. OLETeX가 떨어지는 부분을 잘 모르겠더군요.

  2. 다른 사람들의 저항감이 있다
    특히 관리부터 사람들과 윗분들…

그래서, 내부적으로만 일단 사용할 예정이죠. 사실 이런 문제는 굳이 말로 떠들어봤자 힘만 들거든요. 직접 보여주는 것이 최선이라 생각합니다.


혹시 관심 있으신 분은 http://www.ktug.or.kr/에 방문해 보십시요.

Notes & References

Notes & References
1 OLETeX는 OLE기능을 위하여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만, 저는 개인적으로 EPS 생성 프로그램으로만 사용합니다. ^^; WMF2EPS를 원래 썼었는데, shareware이기도 하고.. OLETeX가 떨어지는 부분을 잘 모르겠더군요.

뭔가 좀 지저분해졌습니다.

Daum에서 Adclix라는 것이 나왔다고 해서 한번 달아봤습니다.
올블로그에서 워낙에 난리라서 뭔가 하고 시험삼아 달아보기는 했는데, 구글 애드센스보다는 약간 더 깔끔해보이지만, 광고의 특성상 별로입니다. ^^;
게다가, EDA 업체의 제품광고나 Fabless 업체들의 구인 광고 같은 것이 올라오면 또 모를까, 시험삼아 달아본 광고중에서 이 블로그와 그나마 연관성 있는건 AMD cpu 광고 정도일까요..(하긴, 구글 에드센스도 국외에서는 해당 부분 광고가 도움이 많이 됩지만 국내에서는 이런 업체에서 광고를 낼리 없으니까요..)

전반적으로 광고의 효과가 있을거라는 별 기대는 하지 않습니다만, 호스팅/도메인 비용정도만 나와도 뭐 좋겠죠.

게시판을 추가하였습니다.

요즘에 방명록을 통해서 저에게 질문을 해 주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제가 많이 부족한 관계로 그다지 속시원한 이야기를 들려드리기는 어렵겠습니다만, 더 문제는 방명록이 별도의 탭을 눌러야 해서 확인을 잘 못하고 있는 관계로 답변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게시판을 하나 만들어 링크해 두었습니다.

혹시라도 하시고 싶은 말씀이라던지, 질문을 해 주시면 아는 한도내에서는 답변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

게시판 링크는 우측 사이드바 옆에 달아두었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e-mail로 걸어두던지하면, 방명록보다는 이쪽에 질문해주시면 좀더 빨리 볼수 있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