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8 and WebM

Google에서 발표한 VP8에 대한 분석자료가 x264 사이트에 올라와서 읽어봤습니다.

짧게 이야기하자면

* H.264 BP나 VC-1보다는 약간 좋아보인다.
* H.264 HP에는 좀 많이 떨어진다.
* H.264와 비교하면 H.264 BP에 좀 더 괜찮은 Entropy coder를 장착한 정도로 보인다. (bool coder의 지저분함을 생각하면.. 흠.. 본문에도 나오지만, 구현하기 더럽…여하튼)
* 기존에 open되어 있던 Theora나 Dirac 보다는 훨씬 좋다. (Theora의 VP3를 기반으로 나름의 최적화를 한것이므로 당연한 것이겠는데, Dirac은 생각보다 훨씬 안 좋았나보다..)
* 속도는 끔찍
* WebM은 실제로 Matroska 컨테이너임.

느낌은 그간 On2에서 H.264보다 훨씬 좋다고 홈페이지에서 자랑하던 것은 역시나 구라였군..

새로 blog들을 모아봤어요..

예전에 칩쟁이들의 모임이라는 것이 있었는데, 없어지면서 서로 블로그들의 이야기를 살펴보기 쉽지 않았어요.

그래서, http://babyworm.net/planet/soc/output/ 라는 페이지를 임시로 만들어봤습니다.

매일 새벽 4시에 업데이트 됩니다.

* 추가 5/22)
혹시 추가하고 싶으신 blog는 추천을..
crond가 제대로 돌지 않는듯 하다. 혹시 Cafe24 서버에서는 안되는 거 아냐.. -_-; (현재 설정을 바꿔가면서 테스트중)

일단 끝.. 이라고 할 수도 있어요.

예전에 이야기했던 번역을 끝냈습니다.
에고.. 실감하지 못했는데 거의 반년동안 번역했습니다.

주중 밤동안의 relax와 주말동안의 편안한 휴식, 약간의 공부(진짜?), 딸래미와의 여가 중 많은 부분을 대신하여 번역을 했는데, 이제서야 “오류가 가득하고, 비문으로 가득차 있으며, 내가 읽어도 마땅치 않은 수준의” 초벌 번역을 마쳤습니다.

초벌 번역을 끝내고 그냥 review로 아주 중요한 오류만이라도 수정하고 있는 중인데, 분량도 많거니와 영 껄끄러운 번역투의 문장이 툭툭 튀어나와서 일단 심각한 것만 고쳐나가는 것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그 심각한 것도 왜 이렇게 많은건지..)
몇번 다듬어야겠지요. (교정해주시는 분들께서 심각하게 싫어하실지도..)

참. 번역한 책은 챨스 페졸트의 “CODE”라는 책입니다.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으로써의 부호가 어떻게 진화했고, 이걸 다루는 컴퓨터가 어떤 방식으로 도는 것인지 알려주는 것이지요.
책의 1/3 정도는 부호에 대한 이야기를, 1/3 정도는 부호를 어떻게 다룰것이며, 이를 위한 기본적인 논리 회로에 대한 내용, 1/3 정도는 논리회로에서 컴퓨터를 만들어가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어찌보면 상당히 범위가 넓은 주제를 “소프트웨어 관점에서 본 하드웨어”라는 측면에서 쉽게 설명했다고 생각합니다.
전산 전공이신 분들께는 부호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논리 회로 부분 정도가 재미난 이야기일 것이고, 아니신 분들께는 전반적인 기본서(?) 정도의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네요.

번역하면서 느낀건데.. 챨스 페졸트 아저씨는 참 변태네요. ㅋㅋ.. 달리 이야기하면 어떻게 그렇게 넓게 엮어갈 생각을 한 건지.. 사용한 예도 범위가 넓고..
덕분에 책 번역과정에서 책도 좀 많이 읽게 되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