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ystemVerilog

IT-SoC 센터에서 SystemVerilog Verification을 한다기에 들어왔습니다. 
몇년째 책을 보고 예제 몇 개 끄적이다가 잊고.. DPI오~ 예제 몇 개 끄적여보다 잊고.. OVM사용해보고.. 예제 몇 개 끄적여보다 잊고.. UVM 오~~ 예제 몇 개 끄적여보다 잊고를 반복하고 있어서, 이번에는 제대로 듣고 업무에 적용을 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있습니다. 

근데.. 초반 2일이 SystemVerilog for Design section이네요..
음.. 음.. 내일 부터가 기대됩니다. 2일동안 verification을 얼마나 깊이 다룰지 걱정이 쪼금(이라고 쓰고, ‘많이’라고 읽는..)됩니다. 

예전부터 (개인적으로) 주장하던 것인데..
SystemVerilog가 Design Language의 대세가 될 것이냐.. 에는 약간 회의가 있습니다. (물론, 강사님 말로는 많이들 사용한다고 하시더군요..)
일단 SystemVerilog의 문법을 제대로 처리하는 tool과 못하는 tool이 혼재해 있는 상태에 적어도 IP단계에서는 systemverilog를 도입하는 것이 거의 어렵다고 봐야겠죠. (물론 SystemVerilog도 Synthesizable Subset이 정의되어 있지만… 음 Verilog 2001 문법도 아주 많이 제한해서 사용하는 판국에..)

그럼 Verification에서는.. 이라는 질문에는 아주 긍정적으로 봅니다. (사실 제가 긍정할 필요도 없을 정도로 대세죠.. 희안하게도 국내에서는 좀 적게 사용하는 경향이 있지만)

OVM이나 UVM(사실 UVM은 paper를 본 것이 다라서 뭐라 이야기하기 어렵고.) 같은 것이 SystemVerilog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서 뭐 별 일 없이 그냥 표준이 되어가고 있어요..

p.s.
이거 왜 공개되었다가 없어졌나했더니.. SCV관련된 이야기했다가 확인을 못해서 비공개처리하고 잊었었나 보군요.. 일단 지우고..공개

p.s.2.
음.. 별 기대없이 들었는데.. http://verificationacademy.com/course-modules/uvm-ovm-verification/basic-uvm-universal-verification-methodology VA에서 하는 UVM basics 꽤 쓸만하네요.. 이제 목표는 적용해보는것..

주말 잉여짓..

나는 가수다.. 
약간 입맛이 쓰네요.
사실 처음부터 그 정도의 가수들이 나왔으면 한번 7위를 했다고 탈락하는 것이 아니라 예전 무한도전(달력 특집이던가요..)의 방식처럼 몇번 꼴지를 하면 탈락하는 방식으로 가는 것이 좋았을 것이라 생각했는데요..
처음부터 표방한 것은 서바이벌이었고, 얼마나 정중하고 아름답게 퇴장시킬 것이냐.. 라는 것이 관건이었습니다. 
사실 기존 서바이벌의 경우 독설이 난무하더라도 도전이 아름다운 아마추어들이었으니 크게 문제가 없었겠지만, 모두 노래 잘 부르는 가수들은 좀 다르니까요.. 
다음 번에 자기가 원하는 무대를 한번 갖도록 하는 것이 더 아름답지 않았을까.. 싶은데..
여하튼, 결정은 되었고 한번 더 들을 수 있다는 것도 기쁘고.. 오늘 공개된 음원도 멋지네요. 

지금보고 있는 EPL
맨유, 아스날, 리버풀을 좋아하는데.. (사실 바르셀로나의 형식이 가장 취향에 맞는데.. 라리가 볼 수 있는 곳이 별로 없어서..)
세 팀의 전통적인 공통점은 빠르고, 역전에 강하고, 끝나기 전까지 기대하게 만든다는 공통점이 있었습니다. 
이번주 경기는 그런데 전반적으로 썩…
맨유 경기.. 좀 지겨웠어요.. 오히려 퇴장이후가 더 멋졌습니다. 승리하려는 의지의 차이가 갈랐습니다. 
아스날.. 아..
리버풀.. 초반에 선더랜드에서 두 명이 부상당하고 리듬이 바뀌었으니.. 좀 행운.. 
첼시와 맨시티.. 이 글을 쓰게 된 원인..  빅매치가 이렇게 박진감과 긴장감 없이 진행되는 건 사기아닌가.. -_-;  레이져쇼만 보여주고 말이지요..

그리고.. 
책도 보고, 일도 하고, 회사 서버 좀 만지고, 만화책도 좀 보고.. (만화 동호회의 일원으로 ^^;)

요즘 스트롭스트룹의 The C++ Programming Language를 다시 보고 있습니다.
예전에 원서로 한번, 한글판으로 대~충 한번..그리고 이번이 세번째인데요.. 역시 언어라는 것이 안쓰면 잊더군요. 
특히 제가 C++을 한창 사용하던 시기(92년 겨울부터 97년 봄 정도까지.. 97년에 이제 하드웨어 하기로 결심한 다음부터 C++은 완전히 손 놨었죠.. (뭐 그게 완전한 착각이라는 걸 깨닿는데 대략 2년 남짓 걸렸습니다만…)

여하튼, 소위 이야기하는 standard C++라는 것이 생기고 된장틱 하게 살려면 그래도 읽어봐야 하지 않을까… 하고 읽었던 책인데, 처음엔 내가 알고 있던 C++과 많은 부분이 바뀌어 있어서 놀랐고(예전엔 namespace라는 것도 없었죠.. STL은 더더욱..), 재미삼아 읽었지만 안쓰니 잊고.. 그러다 궁금해서 또 읽고.. 또 잊고.. 또 궁금해서 읽고.. 하는 과정을 반복하고 있는 중이죠..

이젠 사용해 보려고요.. 🙂
예전에 C++을 쓰면서 걸렸던 많은 것들이 해소되었더군요.. 

예를 들어,예전에 C++을 써보면 결국 C++이 C로 mapping되고 이걸 컴파일하는 형태였는데, 요즘엔 C++ 자체적으로 컴파일 된다고 하죠. (들은 이야기라.. ) 제가 예전에 C++ 컴파일하고 주욱~ 따라가다 보면 결국 C++은 C에 비해서 “엄청” 느릴 수 밖에 없다는 결론이었는데, 그 주된 원인이 C로변환되는 과정에 발생하는 overhead가 만만치 않다는 것이 이유였죠. 

저의 경우 보통 simulator를 만들 때 프로그래밍을 하는데, C++ 자체의 느림이나.. virtual function의 느림 등이 예전에 비하면 많이 해소되었다고 하네요. 물론 아직도 만족할 정도는 아닌 것 같지만, 이제 컴퓨터가 많이 빨라져서..
처음에 cycle level processor simulator를 C++로 짰을 때 파이프 dump를 넣으면 RTL보다 불과 몇 배 빠른  정도의 속도여서 좌절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아. 오해의 소지가 있어서 붙이자면 당시 프로그래밍 테크닉이 별로여서 잘 짠 프로그램이 아니었지요.. 그 뒤로 최적화라는 부분에 대해서 많이 배웠습니다. 어떤 C/C++ 코드가 어셈블리로 어떻게 변환되는지에 대해서 많이 알게 되었구요. 
나중에는 중요 부분을 C와 preprocesor로 재정의해서 거의 1000~10000배 이상 빠르게 만들었지요. 읽기는 약간 더 어려워졌지만.. 

그러고보니, 블로그 이전 후에 이 블로그에서 technical 한 내용이 없어지는 건가.. 하는 두려움이 가끔 생기네요. ^^;
뭐 이럴때도 있는 거죠. .

[EBS다큐프라임]왜 아이들은 낯선 어른을 따라가는가?

 

게시판에서 본 건데..
딸 가진 아빠로써 정말 이렇게 가르켜야 하나.. 라는 생각도 들고..
예전에는 어려운 사람 있으면 꼭 도와줘야 한다고 배웠었는데..
기억에 남는 부분은 “직접 도와주지 않아도 나쁜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니다”와 “어른은 아이에게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다. 어른은 어른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는 부분이네요.
신뢰라는 것이 기반이 되지 않은 사회는 얼마나 많은 비용을 치뤄야 하는 걸까요?
사진 출처: 자월에서 유머나라에 있는 것을 퍼온 것을 다시 퍼옴 (복잡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