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봇.. 너무하는 거 아냐..

블로깅 이전에 트래픽은 10%미만이었던 홈페이지가 블로깅이후에 점점 트래픽이 늘어나서 rss는 피드 버너쪽으로 돌리게 만들고, 별의 별것을 다하게 되었고.. 드디어 어제 트래픽 초과라는 어마 어마한 일을 겪었습니다.
부랴 부랴 robots.txt도 만들어 넣었습니다. 20분 이내에 로봇은 오지 말라고..

그리고나서 오늘은 트래픽이 쾌적한 상태로 돌아올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착각이었습니다.

오후 1시경에 다시 트래픽이 60%까지 차오르고 있었습니다.
아.. 도대체 어떤넘이 문제인지 호스팅 업체에 문의한 결과.. 다음봇이 문제였습니다.

현재 가장 많이 들어온 아이피를 보면,

2 222.231.50.164 789 4.85% 30,917 5.34% 3 0.16%
3 222.231.50.166 740 4.55% 30,559 5.28% 3 0.16%
4 222.231.42.13 846 5.20% 30,031 5.19% 2 0.11%
5 222.231.42.14 797 4.90% 30,029 5.19% 6 0.32%
6 222.231.50.165 746 4.59% 29,092 5.03% 6 0.32%
7 222.231.42.12 783 4.82% 28,956 5.01% 4 0.21%
8 222.231.50.163 716 4.40% 28,350 4.90% 5 0.27%
9 222.231.50.160 666 4.10% 26,940 4.66% 4 0.21%
10 222.231.50.162 665 4.09% 26,385 4.56% 5 0.27%

이렇게 222.231 에서 들어온 아이피가 압도적으로 트레픽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해당 아이피가 어디에서 접속했는지 알아본 결과

222.231.42.14 – – [19/Oct/2006:02:30:29 +0900] “GET /robots.txt HTTP/1.0” 404 273 “-” “Mozilla/4.0 (compatible; EDI/1.6.6; Edacious & Intelligent Web Robot; Daum Communications Corp., Korea)”

인것을 찾아냈습니다.

이것외에도 야후, MSN 이 들어오기는 하지만, 다음에 비해 적은 수였습니다.

다음쪽 아이피를 차단해 보세요

다음에서 아주 활동성이 강한 봇을 만들었나보네요..

차마 다음쪽 아이피는 차단하지 않고 있습니다만.. 흠.. 계속 이런 트래픽이면 개인적인 용도의 페이지들도 쓸수가 없으니, 차단을 고려중입니다. 우선은 몇일 봐야겠습니다.

자동차 시장을 겨냥한 Cortex-R4F

ZD net을 보니 [wp]ARM[/wp]이 MPR fall에서 [wp]Cortex-R4F[/wp]라는 프로세서를 발표했다고 하네요.
(기사 원문은 여기에 있습니다.[기사 출처] http://www.zdnet.co.kr/itbiz/press/network/etc/0,39032102,39152022,00.htm)
Cortex-R4는 제가 이전 posting에서도 간략히 올린 적이 있습니다만, IPC(instruction per cycle) matric의 관점에서 이전의 프로세서에 비하여 많은 향상이 있는 프로세서입니다.  실질적으로 ARM에서 Cortex시리즈를 발표하면서 main stream market을 보고 만든 프로세서이기도 하고요.. (타겟 마켓으로 보아 ARM11 마켓을 대체할 것 같습니다.)

Cortex-R4F 프로세서는 F(fault-Tolerant)라는 약자에서 알수 있듯, 시스템에서 발생가능한 오류에 대하여 대처하기 위한 오류교정코드(ECC: Error-Correcting Code) 메모리, 인터커넥트까지의 오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고 합니다.

사실 cortex-R4F에 내장된 프로세서 자체는 fault-tolerant embedded microprocessor라기에는 좀 기능이 약하죠.. 물론 ECC같은 처리 기능을 processor pipeline안에 내장했다는 것은 추가적인 시간 지연을 적게 요구하니까 좋은 생각입니다만,Cortex의 processor core 자체의 falat를 교정하는 방법보다는 인터페이스 과정(메모리든, I/O든..)에서의 오류에 중심을 둔것으로 보입니다.
하긴, 범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항공우주쪽의 application을 위하여 개발된 프로세서와 같이 reduncency를 이용한 fault-tolerant이 적용된 프로세서를 채용하기는 무리가 있겠지요.

Cortex-R4F는 합성 옵션이 있는 부동소수점 처리장치(FPU: Floating-Point Unit)를 제공한다는데, 아마도 configurable FPU 겠지요. [wp]Mathwork[/wp]([wp]Matlab[/wp]을 만든회사)와의 공동 작업도 있고하니, 편의성은 아주 좋겠습니다.

제일 부러운점은 ARM이 인수한 phyciscal library 제작사인 [wp]Artisan[/wp]의 Advantage 라이브러리를 ARM에 최적화해서 제공해 준다는것…. (개인적으로는 ARM의 Artisan 인수에 좌절이었습니다. 같은 RTL에서 더 좋은 합성 결과를 보장해 주는 마법이니까요..)

automotive라는 분야가 embedded system에 있어서 big market으로 떠 오르고 있다는 사실과 ARM이 telecom분야 이외의 다른 마켓으로의 확장을 노리고 있다는 점이 서로 잘 맞아서 이런 결과가 나온듯 합니다. 이전의 cortex-M시리즈도 그렇구요.. 아직까지는 multimedia 나 network쪽에서는 고전하고 있지만, ARM이라는 회사의 R&D 역량이 최근에 상당히 발휘되고 있으니 여러가지 재미있는 결과가 나올 것이라 봅니다.

덧붙여서.. 기사상에 “이중 명령어 이슈(Dual Instruction Issue) 능력을 보유한 향상된 마이크로 아키텍처를 갖추고 있는”이라고 되어 있는데.. 흠.. 제 기억에 Cortex-A가 dual issue이고, Cortex-R은 single issue로 알고 있었는데 Cortex-R4F에서 새로 추가된 feature인지 모르겠네요..

또 덧붙여서.. ARM이 여러가지 시도를 할때마다 저로서는 좌절스러운 경우가 많습니다.
Falut-Tolerant 기능도 예전에 검토해 본적이 있었던 내용인데, 이 기능을 넣음으로서 상승하는 system 비용(프로세서가 아니라..)으로 인해서 채용하고자 하는 회사는 극히 적었고, 회사의 인력은 한정되어 있어서 나~~~~중에 개발하는 것으로 잠정적인 결론을 내렸었거든요. 쩝.. 인력과 돈의 문제입니다. 정말..

트래픽 초과… 로봇의 힘..

어제 오후에 갑작스럽게 트래픽이 초과되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제 홈페이지와 보드, Wikipage는 그야말로 개인적으로 사용하니 별문제 없겠고..
블로그도 그리 인기있을만한 블로그가 아니니 방문자로 인한것이 아닌듯 하더군요..
(블로그 상에는 많은 사용자 방문수가 나오는데.. Google analysis 결과로 미루어보아 실제 방문자수는 하루에 50명 이하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도, 초기에 블로그를 시작하면서 많아봤자 10명 남짓일 것이라 예상했던 것에 비하면 예상외로 많은 분들이 찾아주시는 블로그입니다.. RSS 사용자 분들도 생각보다 많구요..^^ 감사드립니다. )

robots.txt를 써서 로봇 방문을 배제시켰더니만 트래픽이 아주 많이 줄었습니다. 로봇에 의한 것이라는 심증이 가는군요.. 아무리 그래도 그렇지..봇들이 너무 트래픽을 차지하는군요.. -_-;

테터 플러그인 중에 로봇 방문자수 배제를 썼더니.. 방문자수도 뚝! 떨어졌습니다.
실 방문자수만 나타내는 것인데.. 음.. 마음의 준비는 있었지만 좌절스럽긴 하군요.. ^^;

호스팅 업체에 로그 분석을 의뢰했으니, 실제로 어떤 문제였는지는 오늘 정도에 나오겠지요..